사회 인지 진로 이론(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의 핵심은 어떤 과제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이 과제 시도의 여부와 과제를 어떻게 수행하는지를 결정한다는 것인데요. 즉, 자기 효능감이 심리적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의 사고와 심상을 포함합니다.
사회인지 진로이론은 Bandura의 사회학습이론에 토대를 두며 환경과 개인적 요인, 행동 사이의 상호작용을 중시합니다.
개인의 사고와 인지는 기억과 신념, 선호, 자기 지각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진로발달 과정의 일부입니다. 더불어 개인의 진로선택과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성(Gender)과 문화적 이슈 등에 민감합니다. 진로발달의 기본이 되는 핵심개념으로 자아효능감과 결과 기대, 개인적 목표를 들고 있습니다. 이는 진로발달과 선택에서 진로와 관련된 자신에 대한 평가와 믿음을 강조하는 것입니다.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 대리 경험: 내담자와 비슷한 상황에 처해있는 인물이나 문제 해결을 위한 성공적인 사례를 보여줌으로써 성공을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게 합니다.
2. 설득: 내담자에게 그 일을 해야 하는 목적 및 필요성을 명확히 인식시킵니다.
3. 성취 경험: 내담자에게 그 일을 수행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긍정적인 결과나 보상을 알려줌으로써 내담자 스스로 적극적인 수행을 할 수 있도록 동기화시킵니다.
인지적 정보처리이론
1. 진로 선택: 하나의 문제 해결 활동을 하는 것이라고 봅니다.
2. 진로 발달: 지식구조의 끊임없는 성장과 변화를 포함합니다.
3. 진로 상담의 최종 목표: 진로 문제의 해결자이자 의사결정자인 내담자의 잠재력을 증진시키는 것입니다. 내담자가 욕구를 분류하고 지식을 획득하여, 궁극적으로 자신의 욕구가 무엇인지 알 수 있도록 돕습니다. 이는 개인에게 학습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개인의 처리능력을 발전시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