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로의 욕구이론

by hype-up! 2022. 10. 9.

ROE의 욕구 이론

ROE는 Maslow의 욕구 위계 이론에 영향을 받아 유아기의 경험과 직업 선택에 관한 5가지 가설을 수립한 학자입니다. 매슬로우의 욕구 위계 이론 중 유아기 및 아동기에 부모와의 관계로 형성된 성격이 진로 지향성에 영향을 주어 직업 선택을 하게 한다는 부분에 기초하였습니다.

 

 

로는 직업 선택에 있어 초기 아동기의 경험을 중시하며, 사람들 간 욕구의 차이는 어린 시절 자녀가 부모와 형성한 관계에서 기인한다고 봅니다.  Roe의 이론은 개인의 진로 발달 과정에 사회나 환경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많이 고려하며, 진로발달이론이라기 보다는 "진로선택이론"에 해당합니다. 욕구 이론은 성격 이론과 직업 분류라는 두 가지 영역을 통합하는데 의미가 있습니다. 반면, 실증적인 근거가 결여되어 있다는 점과 부모와 자녀 관계는 발달 내내 동일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아버지와 어머니 태도가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꼽히기도 합니다.

 

 

 

로는 아래 가정에 따라 욕구 이론을 수립하였습니다. 
1. 잠재적 특성의 발달에는 한계가 있으며, 개인에 따라 다릅니다.
2. 유전적 특성의 발달 정도는 경험뿐만 아니라 가정의 사회, 경제적 문화의 배경의 영향을 받습니다.
3. 흥미와 태도는 개인의 경험에 따라 발달합니다.
4. 심리적 에너지는 흥미를 결정하는 중요 요인입니다.
5. 개인의 욕구와 만족은 성취 동기의 유발 정도에 따라 결정됩니다.

 

로의 욕구이론

 

부모의 양육 방식에 따라 자녀는 사람 지향적이거나 사람 회피적인 직업을 갖게 된다고 이야기하며, Roe는 가정의 정서적인 분위기, 즉 부모와 자녀 간의 상호작용을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구분합니다. 첫 번째는 수용형(무관심형, 애정형), 두 번째는 정서 집중형(과보호형, 과요구형), 세 번째는 회피형(거부형, 무시형)입니다.

 


로의 직업분류체계

로는 각 직업에서 요구하는 곤란도와 책무성을 고려하여 "서비스직, 비즈니스직, 단체직, 기술직, 예술직, 일반 문화직, 옥외활동직, 과학직"으로 총 8가지 직업군으로 나누었습니다. 직업군의 책임, 능력, 기술의 정도를 기준으로는 "고급/중급/전문 관리, 비/반 숙련직"으로 나눠 구분하였습니다. 비인간 지향적 직업군에는 기술직, 과학직, 옥외활동직이 해당합니다. 

댓글